DevOps/Cloud

[AWS] EFS (Elastic File System)

장그래 2022. 5. 19. 16:20
반응형

 

스토리지 타입

AWS에서 제공하는 EFS를 알아보기 전에, 먼저 스토리지 타입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자. 
스토리지 타입에는 크게 파일(File), 블록(Block), 오브젝트(Object) 형식으로 나눠진다.
각 특징을 알아보자

파일 / 오브젝트 / 블록 이미지

파일 오브젝트 블록
-일반적으로 흔히 알고 있는 스토리지
-계층 구조로 데이터를 저장함
-오브젝트 기반의 스토리지
-폴더 계층 구조 없이 평면 구조로 저장
-PDF, Video, Audio, Text, Website
-블록 기반의 스토리지
-데이터를 고정된 크기의 블록시퀀스로 처리
-각각의 파일이나 오브젝트를 여러 블록에 분산시킴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해본 경험이 있다면 3가지의 차이점을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출처 : RedHat

이러한 스토리지들은 당연하게도 AWS에서도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EFS, S3 ,EBS 다.
(EFS : Elastic File System, S3 : Simple Storage Service, EBS : Elastic Block Store )

EFS / EBS / S3
EFS vs S3 vs EBS

출처 : AWS 

EFS (Elastic File System)  

AWS는 EFS를 이렇게 정의하고 있다.

Amazon EFS(Amazon Elastic File System)는 AWS 클라우드 서비스 및 온프레미스 리소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간단하고 조정 가능하고 탄력적인 완전 관리형 NFS 파일 시스템을 제공합니다

여기서 핵심 단어는 NFS인데, NFS(Network File System)는 네트워크에 파일을 저장하는 메커니즘이다. 즉, 프로토콜이다. (EFS를 서버에 마운트 하기 위해서는 NFS를 설치해야 한다 [ NFS를 제공하지 않는 서버 이미지를 사용했을 경우])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NAS(Network Attached Storage)도 NFS 프로토콜을 이용하고 있다.
여기서 참 애매한 문제가 나오는 게 NAS == EFS 냐? 라고 말하기는 힘들다. NAS와 같이 동작한다고 이해하면 되지만... NAS와 같다라고 이야기 하기에는 기능과 용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굳이 NAS로 사용하면 되는데, 비싼 EFS를 쓸 이유가 없지 않는가..) -> 이 문제는 클라우드 vs 온프레미스 환경 느낌의 비교라고 생각한다.

EFS의 장점

- Multi Az (다중 가용 영역) 

EFS가 없을 때, 가용 영역을 다르게 스토리지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다른 가용 영역에 2개의 파일 서버를 둬서 EBS를 마운트 시켜주는 작업을 했다. 

출처 - AWS

하지만, EFS 가 생기고 나서는 1개의 EFS로 다중 가용 영역에서 스토리지를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출처 - AWS

- 용도에 맞는 모드 선택이 가능하다 ( Performance modes, Throughput modes) 

1. Performance modes

2. Throughput modes

 

처리량 모드 / 성능 모드를 선택에서 자신에게 맞는 옵션을 선택해 효과적으로 스토리지 사용이 가능하다.

반응형